6741마리 중 3461마리 폐사...은퇴 후 수명 5년도 안돼...
조경태 "도심 홍보 뒤엔 죽음 방치... 말복지기금 법제화 시급"
마사회 "관계부처와 관련법 개정 추진..기금 조성해 구호 및 재활 지원"

자료사진.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최근 5년간 퇴역한 경주마 절반 이상이 폐사하거나 행방불명된 것으로 드러나 한국마사회의 동물복지 시스템이 사실상 붕괴 상태에 놓였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조경태 의원(국민의힘·부산 사하을)은 "마사회가 겉으로는 '말 복지 선진화'를 내세우지만 실상은 '죽음의 경마'를 방치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조 의원이 한국마사회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퇴역마 활용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 8월까지 퇴역한 경주마 6,741마리 중 3,461마리(51.3%)가 폐사했고, 303마리(4.5%)는 소재가 파악되지 않는 '미상' 상태인 것으로 확인됐다. 즉, 전체 퇴역 경주마의 55%가량이 죽거나 실종된 셈이다.

경주마의 평균 은퇴 나이는 5~8세로, 일반 말의 평균 수명(25~30세)에 비하면 여전히 젊은 나이다. 그럼에도 은퇴 후 5년도 채 지나지 않아 절반 이상이 사라지는 현실은, 마사회가 홍보하는 '동물복지 선진화'가 허울뿐임을 보여주는 대목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국민의힘 조경태 의원. 의원실. 
국민의힘 조경태 의원. 의원실. 

실제로 마사회는 퇴역 경주마 관리에 있어 자율신고 방식에 의존하고 있다. 이는 허위 신고나 불법 유통을 걸러낼 장치가 없다는 뜻이다. 2023년 충남 공주의 한 폐마 목장에서 퇴역 경주마가 방치·학대된 사건이 발생했듯, 말고기 업자에게 불법 매각되더라도 마사회가 추적할 방법은 사실상 전무하다.

조 의원은 "마사회가 겉으로는 도심 승마체험과 같은 홍보 행사로 '동물복지 기관' 이미지를 포장하지만, 뒤에서는 은퇴한 경주마의 비극을 외면하고 있다"며 "국민을 기만하는 이중 행태"라고 비판했다.

이어 "호주, 일본 등 경마 선진국처럼 경마 상금이나 매출액의 일정 비율을 의무적으로 '말복지기금'으로 적립해야 한다"며 "세계 10위 경제 대국의 위상에 걸맞게 퇴역마의 남은 생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관련해 마사회 측은 조 의원이 지적한 '퇴역경주마 관리 자율신고 시스템'과 관련해, "자율신고 방식 보완 및 정보 신뢰제고를 위해 실태조사 등을 통해 말 등록 현행화를 추진 중이며, 농식품부와 함게 말 등록 및 이력정보 신고 의무화를 위한 법 개정을 추진 중에 있다"고 입장을 밝혔다. 

'말복지기금 의무 적립' 관련해서는 "마사회와 서울-부산경남 마주협회는 2023년도부터 연간 20억원을 말 복지기금으로 공동 출연하고 있다"며 "2027년까지 100억원 조성을 목표로 하는 동 기금을 통해 퇴역마(은퇴마) 승용마(승마용 마필) 전환사업을 통한 커리어 확장, 피학대마 긴급구호, 경주마 재활지원 등을 추진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