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명옥 의원 주최..전문가·정부·소방청·의료계 한자리
병원 이송 두 시간 넘는 사례 2배 급증
"법·제도 재정비, 중앙응급의료센터 위상 강화 필요"

응급의료체계 소생을 위한 정책토론회. 12일 국회의원회관. 서명옥 의원실 제공. 
응급의료체계 소생을 위한 정책토론회. 12일 국회의원회관. 서명옥 의원실 제공.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와 여성가족위원회 소속 서명옥 의원이 지난 12일 국회의원회관 제2간담회의실에서 ‘응급의료체계 소생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서 의원실 주최, 대한응급의학의사회 주관으로 열렸으며, 보건복지부·중앙응급의료센터·소방청 등 관계기관이 함께 참여해 응급의료체계의 현황과 개선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최근 평택의 임신부가 응급실을 찾지 못해 창원까지 이동하거나, 청주의 뇌졸중 환자가 5곳 병원을 전전한 끝에 치료를 받지 못하는 등 이른바 ‘응급실 뺑뺑이’ 사태가 이어지고 있다.

소방청 통계에 따르면 병원까지 두 시간 이상 이송된 환자 수는 2023년 상반기 1,656건에서 올해 상반기 3,877건으로 두 배 이상 급증했다.

발제를 맡은 이형민 대한응급의학의사회 회장은 “응급실 뺑뺑이는 최종치료 인프라 부족과 법적 책임 회피로 인해 병원들이 환자 수용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발생한다”라며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접근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구체적 대안으로 △중앙응급의료센터의 독립과 위상 격상 △지역별 응급환자 전달체계 재정립 △전원조정 시스템 전면 재정비와 수용병원 지원 강화 등을 제시했다.

이어진 토론에는 김찬규 응급의학과 전공의, 최주영 소방청 119구급과 구급정책팀장, 최대해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장, 김정언 중앙응급의료상황실장, 송영조 보건복지부 응급의료과장이 참여해 응급의료 붕괴 극복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서 의원은 “응급의료는 국민의 생명과 직결된 필수 공공의료”라며 “‘응급실 뺑뺑이’를 해결하기 위해 구조적인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