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년 '조세특례제한법', 전기사업법' 개정안 대표발의
신·재생에너지 투자 세액공제, 직접전력거래 활성화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ESG 경영 확산'과 '기후위기 대응 을 위한 'RE100 지원'을 뒷받침하기 위한 관련 법안이 발의됐다.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의원(성남 수정)은 13일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과 '전기사업법 ' 개정안을 각각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개정안은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민간투자 확대와 재생에너지 직접전력거래(PPA)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취지를 담았다.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은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에 대한 민간투자 유도를 위한 세제지원 확대 내용을 담고 있다. 현행법상 국가전략기술사업화시설에는 세액공제가 적용되고 있지만,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은 포함되지 않아 기업의 투자 유인 부족이 지적돼 왔다.
또한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에 따른 발전시설에 2029년 12월 31일까지 투자하는 경우, 중소기업에는 투자액의 30%, 일반기업에는 20%의 세액공제를 부여하도록 했다.
이는 최근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RE100 요구 확산에 따라 기업들의 재생에너지 조달 부담이 커지고 있는 상황 속에서, 재생에너지 인프라에 대한 민간의 자발적 투자와 설비 확충을 유도하려는 조치다. 이 제도를 통해 ESG 경영 실천 기업에게 실질적인 참여 동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전기사업법' 개정안은 재생에너지전기공급사업자와 직접계약을 통해 전기를 구매하는 기업들의 부담을 완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현행 제도에서도 일부 송전·배전설비 이용요금 감면이 가능하지만, 적용 대상과 요건이 제한적이고, 감면 범위 또한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이 이어져 왔다. 실제 시장에서는 높은 송·배전요금 부담으로 인해 직접전력거래 활성화가 제한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개정안은 이러한 제도적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전기사용자가 재생에너지전기를 직접 공급받는 경우 송전·배전설비 이용요금을 최대 60개월간 감면할 수 있도록 명시했다. 해당 감면에 필요한 재원은 전력산업기반기금에서 지원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명확히 해, 보다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이 가능하도록 했다.
두 건의 개정안은 이 대통령이 대선 당시 약속한 '친환경 재생에너지 대전환을 통한 RE100 실현' 및 'ESG 기업경영 확산 지원' 공약을 입법적으로 구체화한 것이다. 특히 재생에너지 직접구매 제도 개선과 기업 인센티브 확대를 통해, 국내 기업의 ESG 경영 실천과 재생에너지 확대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 의원은 "탄소중립과 RE100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생존의 문제"라며 "윤석열 정부가 역행했던 기후·에너지 정책을 정상화하고,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박정훈 '백종원 금지법' 추진..."가맹점주 보호해야"
- "온라인 플랫폼 관광시대, 소비자 보호 강화해야"
- 홈플러스 사태 국회 청문회 추진, "MBK 먹튀 진상조사"
- 김현정, 'MBK 먹튀 방지법' 발의
- 허성무 의원, 난방비폭탄방지법 입법발의...국가책임으로 에너지기본권 확충
- '디지털자산 혁신 법안 공개 설명회' 개최
- 문금주 의원, '김산업진흥유통공사 설치법' 추진
- 이 대통령 실용외교 첫 시험대, 관세협상 매듭 풀까?
- [신정부 금융권 과제] ➃ 중동정세 격랑..코스피 향배는?
- 'AI 디지털교과서' 불만 속출, "전면 재검토해야"
- 주철현 "대통령 직속 '북극항로위원회' 설치하자"
- 송재봉, 중소기업 보호 위한 '기술탈취방지 3법' 발의
- 하남에 '수도권 국가정원' 들어설까? 김용만 의원 동분서주
- 김동아, '신혼부부·다자녀가구 학자금대출 상환부담 경감' 추진
- 김재섭 "문화체육비 소득공제율 35% 상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