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7명·LGU+ 23명 vs KT 90명…규제·감독 신뢰 흔들릴 우려
김우영 "공정처리 주장 아닌, 공정처리 절차 제도화해야"

 KT 광화문 사옥. 박응서 기자.
 KT 광화문 사옥. 박응서 기자.

통신 3사 가운데 KT에만 정부 전관 인력이 압도적으로 집중돼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산하 공공기관 출신이 KT에만 90명에 달해, 공정한 규제와 감독이 가능한지에 대한 근본적인 구조 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김우영 의원(서울 은평을)이 통신 3사(SKT·KT·LGU+)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5년 현재 3사 내 과기정통부 및 산하기관 출신 재직자 수는 KT 90명, LGU+ 23명, SK텔레콤 7명으로 나타났다. KT에만 전관 인력이 유독 몰려 있는 것이다.

전관 인력 편중은 단순히 퇴직자의 이직 문제를 넘어 통신 시장의 공정성과 규제의 신뢰성을 흔들 수 있는 구조적 요인으로 지목된다. 특히 KT는 민영화된 공기업이자 국가 기간통신망을 보유한 기업으로, 정부 출신 인력이 다수 포진한 상황은 감시받아야 할 대상과 규제기관이 얽히는 이해충돌을 낳을 수 있다. 이는 정책 집행이나 사건 처리 과정에서 사적 유착, '봐주기' 논란으로 번질 수 있는 구조적 취약점이다.

김우영 의원은 "이제는 '공정하게 처리했다'는 주장이 아니라, 공정하게 처리할 수밖에 없는 절차를 제도화해야 한다"며 "이해충돌 방지를 위한 제도 개선 없이는 국민 신뢰는 물론, 통신시장 전체의 공정경쟁 기반까지 무너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