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활동 감액 2429억·부부감액 1921억…감액액은 늘고 수급권은 줄어
남인순 "노후소득 보장 취지 훼손…감액제도 전면 개선해야"
일하거나 부부라는 이유만으로 노후연금이 깎이는 국민연금·기초연금 감액 제도로 인해, 지난해 노인들이 감액당한 연금액이 4천억 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서울 송파병·보건복지위원회)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소득활동으로 인해 노령연금이 감액된 수급자는 13만 7,061명으로, 연간 총 감액액은 2,429억 7,000만 원에 달했다.
이는 2021년 14만 8,497명 대비 7.7% 줄어든 수치지만, 총 감액액은 같은 기간 2,162억 7,500만 원에서 2,429억 7,000만 원으로 12.3% 증가했다. 즉, 감액 대상은 줄었지만 감액 규모는 오히려 커진 셈이다.
또한 기초연금을 동시에 수급하는 부부의 경우 2021년 256만 명에서 2024년 297만 명으로 16% 늘었고, 부부 감액액 역시 1,506억 원에서 1,921억 원으로 25.5% 증가했다. 일하거나 결혼해 있다는 이유만으로 연금이 줄어드는 구조적 불합리가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현재 ‘근로연금 감액제도’는 일정 소득 이상을 얻는 노령연금 수급자의 연금을 일부 삭감하는 제도이며, ‘부부감액제도’는 부부가 동시에 기초연금을 수급할 경우 20%를 감액하는 구조다. 그러나 고령층의 근로·소득활동이 늘어나고, 맞벌이 부부 은퇴가 보편화된 현실과는 맞지 않는다는 비판이 계속 제기되어 왔다.
남인순 의원은 “기초연금과 국민연금은 노후소득보장의 핵심 축인데, 일하거나 부부라는 이유로 연금이 깎이는 것은 제도의 본래 취지에 어긋난다”며 “감액 제도를 개선해 어르신들의 근로 의욕을 높이고, 연금 수급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관련기사
- [국감2025] 산단공 입주 소상공인 폐업 위기 내몰려...지원 사각지대
- [국감2025] KOTRA 해외 M&A 성적표 '초라'…거점 27곳 운영에도 성공률 2.1%
- [국감2025] 중국 가전기업에 '정부 인증'까지…디자인진흥원, Midea 제품에 GD마크 수여
- [국감2025] 발전사업 지연으로 묶인 미사용 전력망, 5년 새 230배 급증
- [국감2025] KIC 해외진출 공동투자 10년째 집행 '제로'
- [국감2025] '공부 잘하는 약' 남용 확산…ADHD 치료제 5년 새 2억7천만정 처방
- [국감2025] 해킹 난리통에 제주도행…KISA 안일 대응 논란
- [국강2025] KINS 내부자, 원전기술 자료 수십만 건 반출..처벌은 커녕 오히려 '특진'
- [국감2025] 김영훈 "이랜드리테일 불법파견 의혹, 특별근로감독 검토"
- [국감2025] '1조2600억 투자' 홍보한 코트라…실제 투자 12% 불과
- 자영업자 생계 위협하는 '노쇼 사기'...올해만 4506건, 피해액 737억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