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사건 논의 전혀 없어" 정면 반박
민주·혁신 "즉각 거취 표명해야, 수사 불가피"
국힘 "사퇴 요구 저열한 방식, 부메랑 돌아갈 것"

조희대 대법원장이 17일 서울 서초구 대법원에서 퇴근하기 위해 청사를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조희대 대법원장이 17일 서울 서초구 대법원에서 퇴근하기 위해 청사를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조희대 대법원장이 더불어민주당발 '이재명 대선 개입 의혹'을 정면으로 부인하며 해명에 나섰다. 그러나 민주당과 조국혁신당 등은 "즉각 사퇴"를 촉구하며 연일 압박의 수위를 높이고 있다. 특검 수사를 둘러싸고 여야대치가 격화되는 가운데, 정치권 핵심 화두로 '사법개혁'이 삽시간에 부상하는 모습이다. 

조 대법원장은 17일 법원행정처를 통한 입장문에서 "대법원장이 한덕수 전 국무총리 등과 만나 대통령 공직선거법 사건 처리에 대해 논의했다는 취지의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며 "그러나 한 전 총리와는 물론이고 외부의 누구와도 논의한 바가 전혀 없으며, 거론된 나머지 사람들과도 의혹과 같은 대화나 만남을 가진 적이 없음을 명백히 밝힌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같은 해명에도 여권은 공세를 늦출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즉각 서면브리핑을 통해 "조희대 대법원장은 자격을 이미 상실했다"며 "철저한 수사와 함께 즉각 거취를 밝혀야 한다"고 비판했다. 

조국혁신당은 한 발 앞서 조 대법원장에 대한 탄핵소추안 발의까지 검토에 들어갔다. 혁신당은 논평에서 "수사가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탄핵소추안 발의와 법원과 함께하는 사법개혁은 대법원장님의 무책임한 태도로 좌초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왼쪽),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왼쪽),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 연합뉴스. 

앞서 민주당 부승찬 의원은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결정 사흘 뒤인 지난 4월 7일 조 대법원장이 한덕수 전 총리 등과 오찬을 가졌다"며 "이 자리에서 '이재명 사건은 대법원에서 알아서 한다'는 발언을 했다"는 제보 내용을 공개했다.

그러자 정청래 대표는 이날 제주에서 가진 현장 최고위회의에서 부 의원의 발언을 언급하며 "만약 사실이라면 조 대법원장을 어떻게 해야 하느냐"고 따져 묻기도 했다. 

나경원 의원의 법제사법위원회 간사 선임이 무산된 데 이어, 권성동 의원까지 구속되는 수모를 겪은 국민의힘은 여권의 화살이 조 대법원장을 향하자 크게 공분하는 분위기다. 

장동혁 대표는 이날 오전 "근거 없는 내용을 비틀어 대법원장 사퇴까지 몰고 가는 것은 저열한 방식"이라며 "국민들께서 지켜보고 계시고 결국 그 부메랑은 더불어민주당과 이재명 대통령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경고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