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대책위 기자회견 개최, 청문회 개최 거듭 촉구
"사태 원인 철저히 밝히고 김병주 회장 처벌해야"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홈플러스 사태'가 105일을 맞은 가운데, 문제 해결을 위한 국회 청문회 개최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MBK 먹튀 저지 홈플러스 사태 해결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 등은 16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이같은 내용의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 자리엔 더불어민주당 민병덕·김남근·이강일 의원, 조국혁신당 신장식 의원, 진보당 정혜경 의원, 사회민주당 한창민 의원, 박석운 공대위 상임대표, 안수용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장, 김병국 홈플러스 입점주협의회 회장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홈플러스가 사모펀드 MBK파트너스에 의해 기습적으로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간지 105일을 맞았지만, 홈플러스는 회생이 아니라 점포 폐점과 대규모 고용불안을 초래하고 있다"고 호소했다.
이어 "6월 12일 제출된 조사보고서에는 외부 투자유치 또는 M&A가 필요하다고 나았지만 MBK는 외면하고 M&A를 추진한다고만 하고 있다'며 "이는 MBK가 홈플러스 정상화와 지속경영에는 관심없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M&A가 실패한다면 바로 청산으로 이어질 것인데 이 경우 노동자, 입점업체, 납품업체 등 수십만명의 고용문제, 지역경제 공동화 문제 등이 발생해 국가경제와 지역경제에 큰 악영향을 끼칠수 밖에 없다" 신속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앞서 민병덕·신장식·정혜경 의원 등 25명은 지난 10일 '홈플러스 사태 해결 및 국회청문회 개최 결의안'을 발의한 바 있다.
이들은 "홈플러스 사태의 원인에 대해 철저히 밝히고 MBK와 김병주 회장을 처벌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며 "정치권이 힘을 합쳐 청문회를 개최하고 문제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관련기사
- 이마트 노브랜드 10년, 가성비 신화·브랜드 혁신 '갈림길'
- 홈플러스 새주인 찾기 본격화.. GS·롯데 등 '눈독'
- 홈플러스 사태 국회 청문회 추진, "MBK 먹튀 진상조사"
- 수방사 벙커에 1급 발암물질 '라돈'...전략사 간부 무방비 노출
- 'AI 디지털교과서' 불만 속출, "전면 재검토해야"
- 주철현 "대통령 직속 '북극항로위원회' 설치하자"
- 민주당 민병덕 “지속가능한 연금개혁 시급”
- 송재봉, 중소기업 보호 위한 '기술탈취방지 3법' 발의
- 하남에 '수도권 국가정원' 들어설까? 김용만 의원 동분서주
- 김동아, '신혼부부·다자녀가구 학자금대출 상환부담 경감' 추진
- 김재섭 "문화체육비 소득공제율 35% 상향"
- 김영배 "게임물 사업자 교육, 문체부로 일원화"
- 70대 노모에게 손배소 요구한 현대차, "인면수심"
- 쿠쿠홈시스 '갑질' 논란..."노조 탈퇴 종용·협박"
- 'MBK사모펀드 규제법' 발의…'깜깜이 펀드' 막는다
- 민주당, 홈플러스 사태 청문회 추진 거듭 피력..."MBK 책임 규명"
